안녕하세요.
집에 컴퓨터가 있고 한번씩 코딩을 하여 작업을 하시고
나중에 노트북을 들고 나갔는데 작업이 연동되어 있지 않아
당황 할 수 가 있는데요!
이럴때 git을 통해 컴퓨터와 노트북을 연동 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일단 예를 들어서 컴퓨터에서 작업을 끝마친 경우를 한번 봅시다!
일단 우리는 git에 repository가 있어야 합니다.
github.com으로 가줍시다!
여기서 newrepository를 만들어 줍시다!
대충 만들어 줍니다!
public 할지 private할지는 본인의 선택입니다!
그러면 이렇게 github repository의 url이 생기게 됩니다!
이 url을 vscode의 작업환경에 연동을 시킬 껀데요!
일단 본인이 작업 중인 vscode를 열어줍니다!
저는 예시 이기 때문에 간단하게 만들어 보았습니다!
일단 git을 사용할 것을 알려 주어야 합니다!
일단 다음 명령어를 실행해주세요!
git init
그리고 git이 연동 되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터미널에 다음과 같이 입력해줍니다!
git remote -v
그러면 연동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다음과 같이 되겠지요!?
그러면 연동을 시키기 위해 다음 명령어를 실행해주세요!
git remote add origin (url)
저기 url 부분은 아까 git repository를 만들면서 봐두었던 url을 말하는 것입니다!
아까 봐두었던 url을 복사해서 만들어 두었습니다.
그러면 이제 파일을 업로드 해보겠습니다!
다음 명령어를 실행 해주세요!
git add .
# 모든 파일을 스테이징합니다.
git commit -m "anymessage"
# 스테이징된 파일들을 commit 합니다. anymessage는 어떤 메시지를 넣든지 상관이 없습니다.
git push origin master
# master 브랜치에 commit 된 파일들을 push 합니다.
다음 명령어를 실행해준 뒤 github를 살펴보면
이렇게 파일이 올라와있는 것이 보입니다.
물론 이렇게 하지 않고 github desktop을 이용해 훨씬 쉽게 할 수도 있습니다.
여튼 이제 노트북환경으로 돌아와 위 파일들을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은
저기 fork 버튼을 눌러서 본인의 gitrepository로 가져 옵니다.
그리고 clone repository를 한 이후에 작업을 시작해주면 되겠습니다!